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주식] 한국화장품(123690) 분석: 실적, 주가동향, 향후 전망

by 망고빙고 2025. 7. 14.

한국화장품(123690)의 최근 실적 흐름과 평가 지표, 강점과 리스크 요인, 향후 전망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한 분석입니다.

🏢 1. 기업 개요

설립 배경: 2010년 (주)한국화장품제조로부터 화장품 판매와 부동산 임대 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습니다.
제품군 및 유통 채널: 기초·색조 화장품 700여 종을 취급하며, 시판, H&B, 브랜드 매니저 체제로 신제품 개발과 브랜드 확충에 주력.
시장위치: 경쟁 심화 속에서도 K‑Beauty 성장 수혜 기대됩니다.

한국화장품 7월 14일 주가현황

📊 2. 실적 요약

2‑1. 최근 실적 흐름 (2025년 1분기 기준)

매출: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하였습니다.
영업이익: –29% 감소, 당기순이익: –23.3% 감소하였습니다.

2‑2. 연간 실적 추이 (2022–2024년)

매출 성장률: 2022년 –1.4% → 2023년 +19.2% → 2024년 +17.9%.
영업이익률: –0.03% → +3.9% → +4.0%.
순이익률: +0.6% → +4.5% → +5.2%.
ROA/ROE: 2022년 각각 0.9%, 1.9%에서 2024년 9.1% / 17.4%까지 상승 하였습니다.
재무안정성: 부채비율 2020년 155% → 2024년 90.7%, 유동비율 116% → 164%, 자기자본비율 39% → 52%로 개선되었습니다.

2‑3. 업계 내 실적 비교

2024년 2분기/상반기: 화장품 76개 상장사 중, 영업이익 증감률 상위권 기업에 한국화장품제조 포함(194.1% 증가)하였고, 
1분기 당기순이익 성장률: 전년 대비 +144% 증가, 상위 20사 중 포함되었습니다.

💰 3. 평가 지표 및 주가 동향

시가총액: 약 1.47조원
PER/PBR: PER ≈ 36.6배, PBR ≈ 4.5배, 코스피 유통업종 대비 PER(≈25.2배)에서 밸류 부담 존재합니다.
EV/EBITDA: 약 26배.
이익률 지표: 매출총이익률 ≈ 50%, ROE ≈ 13–17%, ROA ≈ 7–9%.
주가 모멘텀: 기술적 분석상 RSI 65 수준으로 다소 과열되지 않은 ‘적극 매수’ 구간입니다.
수급 흐름: 외국인·기관 매수 신호는 전반적으로 ‘약함’ 단계입니다.

🔍 4. 긍정 요인

  • 견조한 매출 및 이익 성장
    2023~2024년 20% 내외 매출 증가, 영업이익률 4%대 복귀하였습니다.
    1분기 일시적 이익 후퇴 외 전체적 추세는 안정적 상승세입니다.
  • 재무구조 개선
    부채비율 크게 하락, 2024년 90% 내외. 유동비율 160%대로 안정적입니다.
    자기자본비율 50% 이상 확보로 사업 대응력 강화되었습니다.
  • 업종 내 경쟁 우위
    영업이익률 개선 및 글로벌 수요 확대에 따른 실적 증가 하였습니다.
    업계 상위권 수준의 당기순이익 성장률 시현되었습니다.
  • K‑뷰티 글로벌 수요 지속
    클린뷰티·색조 중심 수출 성장 기대, 온라인·멀티브랜드 확대에 유리한 사업 구조입니다.

⚠️ 5. 리스크 요인

  • 밸류에이션 부담
    현재 PER 36배, 업종 대비 고평가 우려 존재합니다.
    기대 성장 둔화 시 주가 변동성 확대 가능성 있습니다.
  • 이익 변동성
    2025년 1Q 영업이익 –29%, 순이익 –23% 감소로 수익성 일시 하락하였습니다.
    브랜드·제품 믹스, 마케팅 비용 등에 영향 가능성이 있습니다.
  • 경쟁 심화
    ODM/OEM 중소 강세 및 컬러·클린뷰티 업체 증가 등, 시장 경쟁과 가격 압박 우려됩니다.
  • 수급 열세
    외국인·기관 매수 동향 약한 점은 단기 수급 리스크 요인이 있습니다.

📈 6. 향후 전망 및 전략

6‑1. 실적 회복 지표 모니터링

2분기 이후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 회복 여부 확인 필요합니다.
비용 효율, 브랜드 신제품 출시 효과 등도 중점 체크 대상입니다.

6‑2. 글로벌·신채널 강화

해외 수출 확대, 온라인·H&B 유통 채널 매출 기여도 증가 여부가 핵심입니다.
K‑makeup·클린뷰티 수요에 맞춘 브랜드 포지셔닝 필요합니다.

6‑3. 밸류에이션 안정화

PER 수준이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낮아질지 관건입니다.
EPS 증가, ROE 상승 흐름이 지속된다면 투자 심리 개선될 수 있습니다.

6‑4. 수급 모멘텀 회복

외국인·기관 매수 유입 필요합니다.
공시·IR 활동, 실적 깜짝 (+) 시 수급 반전 가능성 열려 있습니다.

✅ 종합 의견

한국화장품은 2023년 이후 경쟁 구도 속에서도 매출과 이익 중심의 성장을 회복하며, 재무 안정성과 글로벌 시장 확대 모멘텀을 확보한 상태입니다. 다만, 밸류 부담과 수급 열세, 경쟁 심화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향후 실적 회복 및 밸류 안정화, 수급 개선이 맞물린다면, 중장기 투자 관점에서 매력적인 종목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1분기 실적 부진에 대한 단기 조정 가능성을 고려한 분할매수 전략이나 리스크 대비 전략이 필요합니다.